육아휴직 급여 기간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육아휴직 급여 기간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 육아휴직 급여 · 기간 · 신청방법 총정리 │ 2025 기준 한 번에 보기

육아휴직은 만 8세(초2) 이하 자녀를 돌보기 위해 사용하는 법정 휴직입니다. 급여, 기간, 분할 사용, 신청 순서가 헷갈리기 쉬워요. 아래에서 2025년 기준 핵심만 쉽고 짧은 문단으로 정리했습니다.

1️⃣ 기본 개념

  • 대상: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입양 포함) 자녀의 부모 근로자.
  • 법적 근거: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법.
  • 회사 의무: 정당한 사유 없으면 거부 불가. 휴직 기간은 근속기간에 포함.
육아휴직 급여 기간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2️⃣ 기간 · 분할 규정

  • 최대 1년(12개월) 범위에서 사용.
  • 분할 사용: 최대 3회까지 쪼개 사용 가능.
  • 부모 모두 사용 가능. 자녀 생후 18개월 내 동시·연속 사용 전략이 유리할 수 있음.

🔗 고용24 공식 안내 바로가기

3️⃣ 급여(육아휴직급여) — 상한·조건 핵심

지급 요건
· 휴직 시작 기준 고용보험 180일 이상 가입
· 30일 이상 휴직 사용
· 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 신청
육아휴직 급여 기간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 월별 상한 구조(일반)

구간 지급 비율 월 상한
1~3개월 통상임금 100% 250만원
4~6개월 통상임금 100% 200만원
7개월~ 통상임금 80% 160만원

👨‍👩‍👧 부모 함께 사용(이른바 6+6) 요약

  • 자녀 생후 18개월 내 부모가 모두 사용하면 초기 6개월 구간 상한이 단계적으로 인상.
  • 급여 상한이 높아지는 대신, 실제 지급액은 통상임금과 상한 중 낮은 금액으로 결정.

👤 한부모 특례

  • 초기 3개월 상한 상향 등 일부 특례가 적용될 수 있음.
⚠️ 실제 지급액은 통상임금, 상한, 사용 형태(부모 동시·연속, 특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종 기준은 관할 고용센터 고시·안내를 확인하세요.
육아휴직 급여 기간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4️⃣ 신청 절차 — 회사 ▶ 고용보험

① 회사에 육아휴직 신청

  • 시점: 휴직 개시 30일 전까지(긴급 사유 시 7일 전).
  • 내용: 시작·종료일, 분할 계획, 자녀 정보.
  • 결과: 정당한 사유 없으면 회사는 허용해야 함.

② 육아휴직급여 신청(고용보험/고용24/고용센터)

  1. 회사에서 육아휴직 확인서 제출.
  2. 근로자가 고용24/고용보험에서 온라인 신청(또는 관할 고용센터 방문).
  3. 필요서류 예시: 급여신청서, 육아휴직 확인서, 임금대장·근로계약서, 부모 공동 사용 증빙, 한부모 증빙(해당 시) 등.
  4. 매월 또는 일괄 신청. 매월 신청 시 다음 달 말일까지 신청 권장.
  5. 심사 → 지급 결정 → 계좌 입금.

5️⃣ 실무 팁 · 주의 체크

  • 기한 관리: 종료 후 12개월 넘기면 소급 불가 가능.
  • 소득 발생: 휴직 중 근로나 사업소득이 있으면 감액·제한될 수 있음.
  • 분할 전략: 학기·보육 공백에 맞춰 구간 분할이 유리할 수 있음.
  • 부부 순서: 통상임금이 높은 배우자 먼저 사용 시 초기 상한 구간에서 유리할 수 있음.
  • 제도 변동: 해마다 상한·요건이 조정될 수 있어 최신 공지 확인 필수.
육아휴직 급여 기간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6️⃣ 자주 묻는 질문

Q. 회사가 바쁘다는 이유로 미룰 수 있나요?
A. 법에서 정한 예외 사유가 아니면 거부·지연은 어렵습니다. 인수인계 계획을 함께 제출하면 협의가 수월합니다.

Q. 중도 복직하면 남은 기간은 사라지나요?
A. 남은 기간은 규정 범위 내에서 분할 사용이 가능합니다. 변경 사항은 회사·고용센터 모두에 알리세요.

Q. 급여는 언제부터 받나요?
A. 보통 휴직 개시 1개월 경과 후부터 신청·지급 흐름이 시작됩니다. 지역·센터에 따라 일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 고용보험(고용센터) 육아휴직급여 신청 페이지

✅ 마무리

핵심은 요건 확인 → 회사 신청 → 고용보험 급여 신청의 순서입니다. 기준과 상한은 개정될 수 있으니, 게시 시점의 고용24·고용보험 공지를 꼭 확인하세요.